send link to app

스터디박스 app for iPhone and iPad


4.0 ( 4800 ratings )
Education
Developer: (주)엔투엔
Free
Current version: 1.0.2, last update: 11 months ago
First release : 21 Feb 2023
App size: 14.23 Mb

문제집별 진도계획이란, 각각문제집을 페이지나 문제단위등록후, 요일별로 진도계획이 가능합니다. 등록할때는 제외부분도 등록가능하고, 진도계획에서 제외됩니다. 필요하다면 해제도 가능합니다. 진도계획을 세울려면 학생상황마다 진도계획이 다양해야 합니다. 그래서 진도계획도 다양하게 계획이 가능합니다. 진도계획은 학습시간기준, 학습양기준, 마치는 날기준, 몇등분기준, 단원기준으로 다양하게 진도계획을 세우는게 가능합니다. 학생의 학년, 실력, 문제집구성등 다양한 환경에 맞춘 최적의 진도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틀린문제 복습과제 시스템: 학생의 학습효율을 극대화 하기 위한 시스템입니다. 복습의 중요성은 누구나 알고 있지만, 막상 실행해보면 쉽지 않습니다. 우선 복습해야할 범위와 복습횟수와 복습채점 결과가 좋다면 복습을 중지해야 하는 시점을 정해야 합니다. 틀린문제 복습과제 시스템은 학생이 문제집별 학습후 채점을 한다면, 기본적으로 틀린문제가 생기게 되는데, 틀린문제를 다음시간에 자동으로 복습과제로 출제하는 것입니다. 물론, 맞춘문제를 포함해서 복습과제로 설정해도 됩니다. 복습의 방법으로는 출제횟수를 기준으로 복습과제를 2번 출제할지 3번, 4번, 5번 출제할지도 설정가능합니다. 또다른 복습방법으로는 연속으로 맞춘 정답을 기준으로 무제한 출제됩니다. 예를들면 연속3번은 채점모양이 OOO 이렇게 되어야만 복습과제에서 출제가 안됩니다. 채점모양이 OOXO, OXOOXOXOO 이렇게 된다면 연속3번 OOO가 없어서 계속 출제 됩니다. 결국, 연속 해당 설정된 횟수만큼 맞추면(채점에서 O가 됨) 자동으로 복습과제에서 제외 됩니다. 전자는 보통 저학년 학생의 복습방법이고, 후자는 고학년의 학생의 복습방법입니다.

일일계획표작성및 수정관리: 진도계획이 유지되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입니다. 진도계획표를 세우더라도 학교수행평가, 단원평가, 학교과제등 매일매일 상황이 바뀝니다. 그래서 진도계획을 세우더라도 그대로 유지하는것이 어렵고, 너무 자주 바뀌므로 많은 학생은 진도계획세우는것을 포기합니다. 그런데, 진도계획을 기준으로 매일 학습계획이 변경이 가능하다면 진도계획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물론 진도계획대로 100%로 실행은 못하더라도 해야하는 진도계획은 항상 관리가 되고, 출제가 됩니다. 일일계획표 작성을 할려면 우선 새로운 학습추가(수행평가,학교과제등 진도계획표에 등록하지 않는 교재), 내교재추가(단원평가를 준비하기 위해서 진도교재로 등록한 교재를 진도계획이 없는데 학습할 경우), 외출(병원,가족식사,조별과제등 학습자리에서 떠나야 하는 경우)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추가가 된다면 기존 진도계획은 학습양을 수정가능하도록 합니다. 일일계획표에서는 중요한것은 각각의 문제집별 계획마다 학습예상시간을 입력해야 합니다. 그래서 언제쯤 하원이 가능한지 예상하원시간을 보여 줍니다. 물론, 처음 계획을 세우더라고 몇 시간이 지나면 계획대로 안됩니다. 그래서 학습중간에 일일계획표는 수정가능합니다. 이렇게 하므로 학생이 아무런 계획없이 공부하는 습관이 아니라 항상 계획을 세우고 언제까지 끝내야 한다라는 목표의식을 가지도록 도와줍니다. 자신의 계획세운대로 잘하는 학생이 메타인지가 좋은 학생이 됩니다.

목표시간대비 성취율 관리: 학습중 자신의 학습속도를 체크하는 기능입니다. 큰 마음먹고 앉아서 공부하지만 한두시간 지나명 멍때리거나 딴짓을 하는 학생이 많습니다. 이런학생에게 도움이 되는 시스템입니다. 목표대비 성취율 관리시스템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일계획표에서 작성한 계획된 시간 기준으로 100%로 생각하고, 학습시작부터 시간 진행률을 %로 표현합니다. 문제집별 학습후 채점한다면 채점된 문제나 페이지를 기준으로 일일계획표에서 문제집별 설정된 목표 학습시간을 기준으로 성취율을 %로 표현합니다. 결국 진행률은 시간이 지나면 증가하고, 성취율은 채점을 해야만 증가합니다. 만약에 진행률이 50%인데(절반의 시간이 흘렀다는 뜻임), 성취율이 30%이면(학습양은 30%만 했다는 뜻임), 학생은 목표시간대비 성취율이 20% 부족하다는 뜻입니다. 이럴 경우 학생이 더 빨리 학습하던가, 일일계획표를 수정해서 다시 계획을 세우던가 해야 합니다.

덜한과제관리: 진도계획에서 하기로 한 목표학습양대비 덜한 학습양이 어느정도인지 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 덜한 과제는 누적으로 계속 추가됩니다. 덜한과제가 많다면 진도계획을 수정할때 과제양을 줄여야 하고, 덜한과제가 없다면 진도계획을 수정할때 과제양을 늘려야 합니다. 결국 학생이 현재 학습하는 문제집의 과제양의 정도가 적당한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됩니다. 덜한과제수를 없애는 방법은 진도계획된 학습이외에 추가학습을 진행한다면 덜한과제수가 줄어 듭니다. 일일계획표에서 주어진 학습범위보다 더 많이 하면 됩니다. 만약 덜한 과제양이 너무 많아서 덜한 과제관리가 무의미하다고 생각이 되면 리셋후 덜한과제를 0 으로 처리한다음 처음부터 다시 덜한과제관리가 가능합니다.

일시정지기능: 학습중간 이런 저런 이유로 학습을 중단해야 할 상황이 생기면 일시정지 기능이 있습니다. 화장실 갈수도 있고, 잠깐 편의점 갈 수 도 있습니다. 이때는 학습카운팅은 되지만, 순공시간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학습카운팅에서는 회색으로 처리 됩니다.

순공시간관리: 실제로 학습을 하면서 보낸시간을 순공시간이라고 합니다. 순수하게 공부하는데 얼마의 시간을 보냈는지 체크하는 것입니다. 학습카운팅에서는 파란색으로 처리 됩니다.